1. 앙헬 폭포
(Angel Falls, Salto Angel)
979m, 베네수엘라
단연 세계 최고의 폭포입니다.
높이 979m인 2단 폭포로, 최고 수직낙차
거리만도 807m이며 폭포의 평균폭도
107m에 이릅니다.
Venezuela의 볼리바르(Bolivar)주에
위치한 카나이마(Canaima)국립공원내의
해발 2510m 테푸이(Auyan Tepui)에
있는데 테푸이란 정상부위가 편평하게
깎인 특이모양의 봉우리를 말한다.
1937년 엔젤(Jimmie Angel)에 발견되어
'Angel falls'로 이름 붙여졌는데,
'Angel"은 스페인어권에서는'앙헬'로
발음돼 앙헬 폭포로 알려져 있다.
앙헬 폭포의 낙차 거리가 너무 길어
가뭄때는 폭포수가 줄어들어 밑에까지
떨어지지 못하고 중간서 흩어져버린다.
2. 투겔라 폭포(Tugela Falls)
948m, 남아프리카공화국
두 번째로 높은 폭포는
남아프리카의 나탈(Natal) 국립공원에 있는
투겔라 폭포, 측정 방법의 차이 때문에 높이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많은 폭포중의 하나이다.
폭포의 높이를 948m라고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850m로 알려져 있다.
계단식 폭포(Cscade)로 모두 5계단,
최고 수직낙차 거리는 411m(혹은 410m)이고,
평균 폭포의 폭은 15m 정도이다.
3. 트레스 헤르마나스 폭포
(Cataratas las Tres Hermanas)
914m, 페루
트레스 헤르마나스 폭포의 전체 모습
트레스 헤르마나스 폭포의 상층부
페루(Peru)의 아야쿠초(Ayacucho)에 있는 914m의
폭포로,5계단의 캐스케이드로 구성되어있으며
폭포의 평균 폭은 12m 정도입니다.
4. 올로-우페나 폭포(Olo'upena Falls)
900m, 미국 하와이
폭포 높이 900m로 하와이 몰로카이(Molokai)의
올로-우페나(Olo'upena)산에 있는 폭포.
수량이 풍부한 편이 아니라서 폭포로서의
위용은 떨어지지만 엄연히 오세아니아
대륙권에서는 가장 높은 폭포입니다.
몰로카이의 폭포
5. 빈누 폭포
(Vinnufossen, Vinnufjellsfossen)
860m, 노르웨이
노르웨이의 로스마달(Møre Og Rosmadal)주에 있는
높이 860m의 폭포로 4계단의 캐스케이드를 이루며
최고 수직낙차는 420m입니다.
6. 발레이 폭포(Balaifossen)
850m, 노르웨이
노르웨이의 호르달란드(Hordaland)주에 있는
850m 높이의 폭포입니다.
세 계단의 캐스케이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균 폭포의 폭은 6m이고 최고
수직낙차는 452m에 이릅니다.
7. 푸-우카-오쿠 폭포
(Pu'uka'oku Falls)
840m, 미국 하와이
하와이 몰로카이(Molokai)의 와이에후(Waiehu)에 있는
높이 840m의 푸-우카-오쿠 폭포가 다음 순위입니다.
몰로카이의 북쪽 해변가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해안 절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폭포라고 합니다.
8. 제임스 브루스 폭포(James Bruce Falls)
840m,캐나다
캐나다의 브리티시 콜럼비아(British Columbia)주의
프린세스 루이사 프로빈셜 마린 공원
(Princess Louisa Provincial Marine Park)에 위치한
높이 840m의 폭포입니다.
프린세스 루이사 인렛(Princess Louisa Inlet)의
높은 산봉우리에 쌓였던 눈과 얼음이 녹아서
산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두 줄기의 폭포를 만드는데,
계절에 따라서 여름철에는 폭포 하나가 없어지기도
하고 수량이 줄어들어 폭포라고 보기 힘든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채터박스 폭포
9. 브라운 폭포(Browne Falls)
836m, 뉴질랜드
뉴질랜드(New Zealand) 사우스 아일랜드(South Island)주의
피오르드랜드(Fiordlands) 국립공원에 있는
높이 836m의 6계단으로 된 캐스케이드형 폭포로,
폭포의 평균 폭은 약 12m이고 최고 수직낙차는 244m입니다.
10. 스트루펜 폭포(Strupenfossen)
820m, 노르웨이
노르웨이의 피요르다네(Sogn Og Fjordane)주에 있는
820m 높이의 7단으로 된 층계형 폭포입니다.
정확한 높이와 이름 등이 제대로 알려져있지 않다가
최근에야 지형도(topographic map)을 이용한
분석을 통해 어느 정도 그 실체가 공개되었습니다.
11. 람네피옐 폭포(Ramnefjellsfossen)
(=우티괴르드 폭포(Utigørdsfossen))
818m, 노르웨이
람네피옐 폭포(Ramnefjellsfossen) 보다는
우티괴르드 폭포(Utigørdsfossen)로 더 많이 알려져
있으며,노르웨이의 소온 오그 피요르다네(Sogn Og
Fjordane)주에 있는 높이 818m(혹은 800m)의 3단 폭포.
폭포의 평균 폭은 23m이며, 최고 수직낙차는 600m.
1905년,1936년 람네피옐 산(Ramefjellet)에 산사태로
100명이 넘는 사람들이 목숨을 잃기도 했습니다.
12. 와이힐라우 폭포(Waihilau Falls)
792m, 미국 하와이
하와이의 본섬인 빅 아일랜드(Big Island)의
Waimanu Valley의 가장 깊숙한 곳에 있고
높이 792m가 수직으로 바로 떨어지는 형태입니다.
와이마누 계곡에는 수 많은 폭포들이 있는데
한결같이 높이가 장난이 아니라고 합니다.
와이마누 계곡
13. 콜로니얼 크리크 폭포
(Colonial Creek Falls)
788m, 미국
미국 와싱톤(Washington)주의
노스 캐스케이드(North Cascades) 국립공원에 있으며,
높이는 788m에 폭은 15m의 층계형 폭포입니다.
콜로니얼 피크(Colonial Peak) 정상부위의 빙하가
녹으면서 형성된 폭포지만 계절에 따른 수량 변화가
심하지 않아서 폭포가 마르는 일은 없다고 합니다.
14. 몽지 폭포(Mongefossen)
773m, 노르웨이
높이 773m(혹은 774m)로
노르웨이의 롬스달(Møre Og Romsdal)주에 있으며
폭포의 평균 폭은 23m 이다.
.
눈이 녹는 봄부터 여름까지만 폭포가 나타나며,
나머지 계절에는 폭포수가 말라버려서
볼 수 없다고 합니다.
몽지 폭포의 일부
15. 곡타 폭포(Catarata Gocta)
771m, 페루
페루의 아마조나스(Amazonas)주에 있는 높이 771m의
2단 폭포로 인근 원주민들 사이에서만 폭포의
존재에 대해 이야기되어 오다가 2002년에서야
페루 정부에 의해 그 실체가 확인된 폭포입니다.
-----------------------
16. 므타라지 폭포
(Mtarazi Falls, Mutarazi Falls)
762m, 짐바브웨
짐바브웨(Zimbabwe)의 니앙가(Nyanga) 국립공원에 있는
높이 762m(혹은 761m) 폭 15m의 2단 폭포입니다.
폭포의 하단부가 479m로 최고 수직낙차를 형성하고
상단부는 깊숙히 들어가 있어서 잘 관찰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폭포수는 므타라지 강으로 흘러듭니다.
빅토리아 폭포(Victoria Falls)
짐바브웨(Zimbabwe)와 잠비아(Zambia) 사이의
해발 90m의 고원에서 흘러내리던 잠베지(Zambezi)강이
너비 1.7km에 달하는 폭포로 바뀌어 100~150m 아래의
잠베지 골짜기로 떨어집니다.
1855년 영국의 탐험가 리빙스턴이 발견하여
빅토리아 여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17. 키옐 폭포(Kjelfossen)
755m, 노르웨이
높이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가장 많은 폭포중 하나,
지형도(tophographic map)를 이용하여 높이를 측정
하는데 높게는 840m에서 낮게는 562m까지
그 범위가 매우 크게 측정되었다.
지금은 755m로 인정되고 있으며 최고 수직낙차는
149m로 알려지고 노르웨이의 소온 오그 피요르다네
(Sogn Og Fjordane)주에 있다.
이 폭포는 세군데에서 시작한 폭포가 하나로
합쳐지는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다,
18. 요하네스버그 폭포(Johannesburg Falls)
751m, 미국
미국 와싱톤(Washington)주의 노스 캐스케이드
(North Cascades) 국립공원에 있는
높이 751m의 폭포이다.
산위의 빙하가 녹으면서 형성된 2단 폭포로,
상층부는 캐스케이드형 폭포이고
하단부 244m는 수직으로 낙하하는 폭포이다
19. 요세미티 폭포(Yosemite Falls)
739m, 미국
미국 캘리포니아(California)주 시에라 네바다
(Sierra Nevada) 산맥의 요세미티(Yosemite)
국립공원에 있는 폭포로 높이가 739m,
최고 수직낙차는 436m이다..
폭포의 평균 너비는 약 27m이며,
수량이 많을 때는 초당 약 27톤의 물이 흘러내린다.
20. 트로우 데 페르 폭포
(Cascades de Trou de Fer)
725m, 리유니온 아일랜드
올바로 읽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오세아니아 대륙에 속해있으며 남태평양에 있는
리유니온 아일랜드(Reunion Island)라는 이름도 생소한
작은 섬나라에 있는 폭포랍니다. 높이 725m의
4단 폭포로 최고 수직낙차는 305m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