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을 취득하면 부동산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ㆍ군ㆍ구청에 세금을 내야한다. 과연 무슨 세금을 얼마나 내야하는 걸까?
|
취득세 |
|
등록세 |
|
농어촌특별세 |
(※취득세ㆍ등록세를 감면받는 경우는 감면세액의 20%)
|
지방교육세 |
취득세 등의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다.
※( )는 주택유상거래분(취득세 50%, 등록세 50% 경감)
예를 들어 홍길동씨가 건설회사로부터 아파트를 2억원에 분양 매입하고 취득세 등을 신고하는 경우에는
▲ 취득세 2,000,000원 등록세 2,000,000원,
▲ 농어촌특별세 1,000,000원
[(취득세 2,000,000×10%)+(취득세ㆍ등록세 감면세액 4,000,000×20%)]
▲ 지방교육세 400,000원
⇒ 합계 5,400,000원의 세금을 내야 한다.
이 밖에도 부동산을 취득하면 중개업자에게 중개수수료, 법무사에게 등기대행 수수료 등을 지불해야 하며, 또한 국민주택채권도 매입해야한다. 자금이 부족한 경우에는 채권을 팔아서 필요한 자금에 충당할 수 있다.
이같이 부동산을 취득하게 되면 세금과 각종 비용을 합쳐 취득가액의 약 10% 정도의 비용이 들어간다. 그러므로 거래금액 외에 추가로 10% 정도의 여유자금을 준비하고 있어야 차질 없이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다.
출처 : 부동산을 취득 할 때 내야하는 세금총정리
글쓴이 : 그림ㅈㅏ 원글보기
메모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010년부터 달라지는 부동산 세제… 양도세 감면 받으려면 1월내 청약해야 (0) | 2010.09.04 |
---|---|
[스크랩] 부동산 세금 총정리① - 집 사고 팔 때 내는 세금 (0) | 2010.09.04 |
[스크랩] 집을 사고 팔 때 세금 줄이는 법 (0) | 2010.09.04 |
[스크랩] 꼭 알아야할 부동산 용어 20가지 (0) | 2010.08.16 |
[스크랩] 보유기간 3년 계산하는 방법 (0) | 2010.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