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은행가가 가르쳐주는 돈의 원리
막스 권터 지음
제 1의 원리 – 부자가 되려면 리스크를 걸어라
보조 원리 1 항상 의미 있는 승부에 나서라
보조 원리 2 분산투자의 유혹을 물리쳐라
제 2의 원리 – 욕심으로 부자가 된 사람은 없다
보조 원리 3 이익을 얼마나 원하는지 사전에 결정해 두어라
제 3의 원리 – 배가 가라앉는데 기도하지 마라
보조 원리 4 작은 손실은 인생의 현실로 달게 받아 들여라
제 4의 원리 – 예측가의 오류에 휘둘리지 마라
제 5의 원리 – 돈에서 질서를 찾지 마라
보조 원리 5 역사가들의 함정에 주의하라
[보조원리 6] 차트분석의 환상에 주의하라
[보조원리 7] 인과관계의 망상에 주의하라
[보조원리 8] 갬블러의 궤변에 주의하라
제 6의 원리 – 한 곳에 매달라지 마라
[보조원리 9] 충성심과 향수로 하락시세에 사로잡히지 마라
[보조원리 10] 더 매력적인 투자처가 나타나면 미련 없이 옮겨라
제 7의 원리 – 설명할 수 있는 직관은 의지해도 좋다
[보조원리 11] 희망과 직관을 혼동하지 마라
제 8의 원리 – 당신이 돈 버는 일에 신은 무관심하다
[보조원리 12] 점쟁이의 말이 맞다면 세상의 점쟁이들은 모두 부자여야한다
[보조원리 13] 적당한 거리를 두고 미신을 즐겨라
제 9의 원리 – 부자는 건강한 비관주의자들이다
제 10의 원리 – 큰 이익을 원하거든 다수의 의견을 무시하라
[보조원리 14] 투자의 유행을 따르지 마라
매입해야 할 시기는 아무도 그것을 원하지 않을 때다
제 11의 원리 – 시작부터 순조롭지 않으면 바꿔라
[보조원리 15] 평균을 낮추며 그릇된 투자를 지속하려 들지 마라
제 12의 원리 – 부자는 계획보다 대응을 중시한다
[보조원리 16] 장기투자는 엉터리 환상이 키운다
스위스라는 나라는 어떤 나라인가?
내가 알고 있는 상식으론 중립 사회이다.
이 말은 좋게 이야기하면 여러가지를 취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어떻게 이야기하면 남들에게 박쥐라는 이야기를 듣기에 딱 좋다고 할 수 있다.
스위스는 근대를 넘어 현대를 들어 와 지금까지 이 중간적인 입장을 아주 잘 취하고 있다.
최근에 이런 정책을 폐지한다는 법을 낸다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말이다.
그렇다면 스위스는 경제적으로 어떤 위치에 있을까?
스위스는 연간 소득이 미국, 독일, 일본보다 앞서고 스위스 프랑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리스크가 적은 통화로 손꼽힌다고 한다. (저자에 의하면)
그러나, 실제로는 미국의 달러보다 안전하고 리스크 적은 통화는 아직까지 나오지 않고 있다. 그것은 미국이라는 경제적 힘과 군사적 힘을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보다 천연자원이 부족한 나라인 스위스 은행들이 왜 전 세계로부터 신뢰를 받는지 이 책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사실 스위스 은행이 투자를 잘해 신뢰를 받고 있다곤 생각하지 않지만 이 책의 저자는 그렇다고 이야기하며 이 책을 보면 알 수 있다고 한다.
저자가 이야기하는 돈의 원리는 딱히 스위스 투자가들만이 갖고 있고 활용하는 원라라고는 할 수 없는 내용들이다.
어떤 원리나 시스템이든 절대적인 것은 없다.
단지 참고 자료이며 활용할 것이지 절대적으로 믿고 따른 다면 결국에 그 원리나 시스템에 목을 메고 배신당하여 패배하고 오히려 난도질 당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나오는 원리들은 대부분 인간의 심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일반 인간들이 갖고 있는 심리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투자라는 것을 주저하며 무서워하고 있다.
저자가 말한 원리중에 동의하는 것도 있고 동의 하지 않는 것들도 있는데 가장 주의 해야 할 점은 아무래도 첫번째 원리인 ‘리스크를 걸어라’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절대로 리스크를 걸지 않는다. 아니, 리스크는 커녕 단 돈 1,000원도 본전을 생각하며 항상 하는 이야기가 있다.
“수익률은 좋으며 원금은 보장되는 상품을 원하다”고 말을 한다.
이런 상품있으면 내가 가입하고 절대 이야기하지 않는다.
알다시피 그런 상품은 절대로 있을 수 없다.
흔히 말하는 투자로 성공한 사람들은 바로 이 리스크를 감수하고 투자를 했다. 물론, 그 리스크를 철저히 분석하고 분석하여 리스크를 리스크가 아닌 기회로 만들었다.
말장난이지만 Change에서 알파벳 G를 C로 변환하여 Chance로 만든 것이다.
이 하나만 명심해도 돈의 원리의 가장 중요한 것을 깨닫는 시간이 될 것이다.
'자기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황의 문제를 선택의 문제로 만들자. (0) | 2014.04.06 |
---|---|
[스크랩] 토머스 제퍼슨의 자기관리 10계명 (0) | 2014.04.01 |
[스크랩] 부자들의 개인 도서관 ㅡ 이상건 (0) | 2014.04.01 |
[스크랩] CEO들의 사원 시절 (0) | 2014.04.01 |
[스크랩] 스티븐 코비의 7가지 습관(7 habits)- 프랭클린 코비사의 공동 회장(코칭회사) (0) | 2014.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