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컨설팅

[스크랩] 6시그마 주요 용어 25가지

루지에나 2010. 8. 22. 17:19

<6시그마 관련 주요 용어>

1. 식스 시그마

 

☞ 6시그마는 고객이 만족하는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업의 수익성을 극대화 시키는 전사적

    경영혁신 활동

       → 구조화된 방법론 : DMAIC / DFSS

       → 철학 : 프로세스의 변동을 줄이고 고객 중심적이며 사실적인 테이터에 의해 관리

 

2. DMAIC

 

☞ Define → Measure → Analyze → Improve → Control

     6시그마 과제추진의 방법론의 하나로 기존으 프로세스를 개선할 때에 적용됨

      → 비즈니스 기회 분석 및 고객 조사 등을 통한 개선 기회 정의 단계(Define)

      → 품질핵신인자인 CTQ의 현 수준 파악을 위한 측정단계(Measure)

      → CTQ에 영향을 주는 치명적 소수인자(Vital Few X´s)를 찾아 내는 단계(Analyze)

      → 근본원인에 대한 세부 개선안을 찾아내고 시험 적용 개선하는 단계(Improve)

      → 개선안이 지속적 유지 관리되고 best practice를 공유하는 단계(Control)

 

3. DFSS(Design For Six Sigma)

 

☞ 고객의 CTQ를 만족시키기 위해 6시그마 품질에 도달할 수 있는 상품(서비스) 및 프로세스를  

    디자인 하는 것임. DFSS는 새로운 프로세스를 도입하거나, 현재 프로세스가 매우 불안정하거나

    한계에 도달했을 때 사용됨

 → 과제수행을 위한 문제점의 정의

 → 고객/기술적 요구사항 및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CTQ를 찾아냄

 → 새로운 프로세스나 상품에 대한 컨셉도출 및 상위레벨 디자인

 → 강건하고 뛰어난 프로세스나 상품의 상세 디자인 및 능력검토

 → 최적조건의 시험적용, 개발성과에 대한 능력분석 및 문서화/표준화

      ex)R&D/마케팅 분양 DFSS과제

 

4. 챔피언(Champion)

 

사업 부문의 6시그마 활동 정책과 과제방향을 결정하는 경영진

챔피언은 6시그마 활동에 대한 지속적 관여를 통하여 과제추진 방향이 사업 방향가 일치 되도록

    하며, 과제가 원활히 진행될수 있도록 장애 요인을 제거하고 6시그마 활동을 평가하는 역할을 수

    행함

    ex) 그랜드 챔피언    임원, 챔피언  → 상무대우  

 

5. 프로세서 오너(Process Owner, PO)

 

 Gus프로세스를 관리하는 현업부서 관리자로서 해결안 도출 및 실행 시 조직 및 자원을

    지원하고, 향후 개선된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개선안에 대한 성과측정 및 성과입력을

    담당함

 

6. 블랙벨트(Black Belt)

 

6시그마의 과제 수행의 과제 리더(Full Time)로서 강력한 리더십의 소유자 이어야 하며

    6시그마 기법을 능숙하게 활횽할 수 있는 자임

 →  BB는 연간 2건 이상의 과제를 수행하여야 하며 GB 및 팀원에게 6시그마 tool과 방법을 지도함.

      또한, 과제 진행시 챔피언과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여 새로운 GB를 양성하는 책임도 갖고

      있음.

 

7. 그린벨트(Green Belt, GB)

 

6시그마의 과제 수행의 과제리더 (Part Time)로서 현 업무 개선 과제 수행 또는 BB과제

    팀원으로 활동하는 개선 실천가임

  →  GB는 팀원에게 6시그마Tool과 방법을 지도하고 일상의 업무에 적용하는 역할을 함

  →  GB의 교육 기간은 통상적으로 1주(5일)가 소요되며, 인원수는 전체 인원의 최소 10%이상

       확보 되어야 함

 

8. 마스트 불랙벨트(Master Black Belt, MBB)

 

 ☞ 6시그마 경영혁신 추진 업무만 전담하며, BB/GB양성교육 및 과제 자문과 지도를 하는

     6시그마 전문가임

   →  BB에게 고도의 기술을 지도하고 새로운 6시그마 전략과 도구를 개발 또는 소개하여 조직내

        에 전파하는 역할을 함

     MBB는 다양한 지식과 역량을 갖춘 팀 구성원을 지도하고 매우 높은 통계적 지식과 더불어

       고도의 문제해결 능력이 있어야 하며,

    일정 과제 수 이상을 완료한 BB가운데 과제 수행 및 지도 능력이 뛰어난 사람을 선발하여

        MBB과정 및 전사품질경영위원회에서 인증 부여

 

9.가설검정(Hypothesis Testing)

 ☞  모집단의 모수에 대하여 가설을 세우고 이 가설의 진위를 표본의 정보를 토대로 판단하는

      과정을 가절검증 또는 간단히 검정이라고 함

 

10. 개선기회(Opportunity)

 ☞  결함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 한 과정의 상품/프로세스에서 기준으로부터 벗어나는 개선기회

      의 수

 

 ☞  프로세스 및 상품의 복잡성을 표현하며 측정가능하고 독립적이어야 함

 

11.결함(Defect)

 ☞ 고객의 요구에 맞추지 못하여 발생한 낭비, 재작업 또는 실패결과로 단위 내에서 수량화 가능

     해야 함

 ☞ 고객에게 불만을 유발하는 모든것, 정한 기준에 불일치한 모든것

 

12. 고객의 소리(VOC : Voice of Customer)
 → 고객이 원하는 주관적·정상적 품질특성으로 고객의 요구 품질

 →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고객의 반응으로 불평, 칭찬, 다른 회사 제품의 선호, 해약/해지, 시장

     점유율의 변화 등으로 나타남
 → 6시그마 과제는 고객으로부터 피드백 된 정보와 고객 인터뷰를 통하여 이러한 VOC를 파악하는

     것으로 시작됨

 

13. 과제(Project)
→ 일반적으로 어느 특정 목적으로 실시되는 프로그램 설계나 연구개발 계획, 건설 공사 등 한번에

    그치는 성격을 갖는 일이나 사업을 의미함.
→ 6시그마에서 사용되는 과제는 회사의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 추진되며, 표준화된 6시그마 과제

   수행방법론에 따라 수행되는 프로세스 개선 및 개발 활동을 의미함

 

14. 과제수행 범위(Project Scope)

→ 과제를 통한 개선할 상품이나 프로세스의 영역-시작점 및 끝점.
→ 과제 팀이 활용할 수 있는 자원에 대한 범위 및 영역의 명확화

 

15. 단기(Short term) 시그마 수준(Zst)

→ 프로세스에서 낼 수 있는 최대 품질 수준으로써 우연 원인만 반영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함

    대립가설(Alternative Hypothesis, H1, Ha)
→ 귀무가설에 대립되는 가설로 변화 또는 차이의 진술문으로 과제 리더가 일반적으로 주장하고

    싶은 가설

 

16. 백만기회당 결함수(Defect per Million Opportunity, DPMO)

→ 기존 불량률에 공정의 복잡한 정도를 추가로 고려하여 나타낸 품질 지수
→ 복잡하고 어려운 공정은 기존 방식으로 계산하면 높은 불량률을 보이나, DPMO방식으로 계산

    하면 Opportunity for error가 크기 때문에 불량이 많더라도 낮은 DPMO를 나타낼 수 있음
→ 시그마 수준을 계산하거나 벤치마킹 시 상대방과 비교하는데 쓰임
→ DPMO = [1M * D]/[N * O] - D(검사한 Sample에 포함된 결함 수-N : 검사한 Sample수 - O :

                 Opportunity for error- M : 백만

 

17. 숨겨진 공장(Hidden Factory)
→ 품질 문제로 인한 불량 발생시 재작업을 하는 경우 재작업 프로세스를 숨겨진 공장(Hidden

    Factory)이라고 함
→ 품질 문제로 인해 부가적으로 생성된 숨겨진 공장으로 인해 프로세스 효율은 떨어지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됨

시그마(Sigma)
→ 시그마는 그리스 문자로서 평균을 중심으로 떨어진 상태와 분포를 나타냄
→ 사업이나 프로세스의 경우 시그마 값은 해당 프로세스가 얼마만큼 잘 수행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가 됨

 

18. 장기(Long term)시그마 수준
→ 장기간에 프로세스가 나타내는 모든 변동이 반영된 것으로 우영원인과 이상원인이 모두 반영된

    테이터를 가지고 구함
→ 장기란 데이터 수집기간이 통상적으로 35개월 이상의 기간을 말하나 프로세스에 따라 그 기간을

    일정하지 않음(장기 또는 단기의 판단은 MBB에 의해 결정됨)

 

19. 저 품질비용(Cost of Poor Quality, COPQ)
→ 품질 문제로 인해 회사에서 지불해야 하는 비용으로, 낮은 수율, 검사비용, 품질 보증비용, 폐기

    비용, 재작업 비용 등과 같은 눈에 보이는 비용과 브랜드 이미지 저하, 매출기회 손실, 재발주

    비용, 재설계 비용 등과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비용이 포함됨

 

20. 즉 개선(Quick fix)
→ 프로세스에 대한 측정 및 분석 이전에 간단한 프로세스 매핑 등의 정상적 분석만으로 큰 개선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간단한 개선기회를 찾아 문제를 쉽고 빠르게 해결하는 것임

 

21. 팀 차터(Team Charter)
→ 6시그마 과제 수행단계 중 정의(Define) 단계의 주요산물로서 무엇이 문제이고 목표가 무엇인지

    명확히 기술한 챔피언과의 계약서
→ 과제의 배경, 개선기회, 과제목표, 과제 수행범위, 추진일정 및 팀 구성을 요약한 것으로, 팀의

    활동을 사업 목표에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팀원들에게 구체적이고 명확한 활동을 제시해

    주며, 과제 활동 사항을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사용됨

 

22. 핵심 원인 변수(Vital Few X`s)
→ 핵심품질인자 출력 특성치(CTQ(Y))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서 커다란 영향을 주는 치명적

    소수인자로서 이의 개선을 통해, 최종적으로 얻으려는 품질 목표를 달성함

 

23.표준업무처리절차(SOP :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 표준작업 절차로서 각 프로세스 단계마다 사용되는 명확하게 기술되고 실행된 작업지시서

 

24. 핵심품질인자(Critical To Quality, CTQ)
→ 고객이 지향하는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치명적인 품질특성인자이며, 치명적 소수인자(Vital Few

    X`s)에 초점을 맞춤
→ 고객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핵심적으로 관리하여야 할 상품이나 서비스의 특성을

    말하며 측정가능하며 정량화할 수 있어야 함

 

25. 핵심품질인자 출력 특성치(CTQ(Y))
→ 상품이나 서비스 프로세스의 결과가 과제의 CTQ를 얼마나 잘 만족시키는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측정가능하고 구체적인 프로세스 Output지표인 출력 특성치

출처 : 6시그마 주요 용어 25가지
글쓴이 : 캄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