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 Z -
4M : 생산 시스템의 투입요소 중 주요 4요소에 해당한다.
- Man(작업자) - 생산주체
- Machine(기계설비) - 생산수단
- Material(자재) - 생산대상
- Method(방법) - 생산방법
Alternate Hypothesis : 대립가설
귀무가설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상이 우연한 분포를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가설
ANOVA (Analysis of Variance) : 분산분석
분포의 편차 요인 및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편차의 원인을 추구하는 기법.
Accuracy : 정확도
참값과 시료평균과의 차이에 대한 변동.
즉 측정치가 참값으로부터의 치우침이 크거나 작은 정도를 나타냄.
Bench Marking
경쟁우위를 쟁취하기 위하여 산업의 최고수준의 기술 혹은 Process를 배워서 경영성과를 높이려는
노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업계의 선두주자로 인식되는 기업의 수준과 자기회사의 수준을 비교
연구하여, 자기회사의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행위를 말함.
Bias : 편의
측정 평균치와 기준치와의 차이 변동
Black Belt (BB)
6시그마 전문가로서 개선 Project 해결의 전담자이며 교육 및 문제해결을 위한 상담자로도 활약한다.
Blocking
실험 전체를 동질적인 몇 개의 블록으로 나눈 후, 각 블록 내에서 요인효과를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Brain-storming
한 주제에 대하여 관계되는 사람이 모여 집단의 효과를 살려 아이디어의 연쇄반응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자유 분방하게 Idea를 내게 하는 방법.
Capability Analysis : 프로세스 능력 분석
프로세스가 요구(시간, 서비스 등)를 충족시킬 능력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기법.
CBR(Cirtical Business Requirements) : 회사 내부의 핵심 요구사항
VOB를 세분화 또는 통합하여 명확한 측정 가능한 회사 내부의 요구사항으로 변환하고
이중 중요도가 높은 회사 내부의 사항을 골라내야한다.
이와 같이 사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회사 내부의 핵심 요구 사항을 CBR 이라 한다.
CCR(Cirtical Customer Requirements) : 핵심 고객 요구사항
VOC는 때로는 애매모호하며 감정적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VOC를 세분화 또는 통합하여 명확한
측정 가능한 고객 요구 사항으로 변환하고 이중 중요도가 높은 핵심 고객 요구사항을 골라내야 한다.
이와 같이 사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고객 요구 사항을 CCR 이라한다.
Central Limit Theorem : 중심극한정리
샘플수가 충분히 크다면(일반적으로 30개 이상) 분포는 근사적으로 정규분포를 띄게 된다는 정리.
'많은 현상이 정규분포이다'라는 것을 추정하기 위한 기본개념.
Champion
6시그마 경영의 수립과 실행에 대한 책임자로서 6시그마 경영에 대한 진단과 점검을 통하여 활동을
지원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Continuous data : 연속형 데이터
무한히 분리될 수 있는 연속형 내지는 규모에 대해 측정된 어떤 변수. 주요 형태는 시간, 금액, 크기,
무게, 온도, 그리고 스피드를 포함한다. 또한, '가변 데이터'로서 간주된다.
Control Chart : 관리도
Control Limit : 관리한계선 : 관리도에서 변동의 한계를 결정짓는 선
- Upper Control Limit( 관리 상한선 )
- Lower Control Limit( 관리 하한선 )
COPQ (Cost Of Poor Quality) : 저품질로 인한 총코스트
총코스트에는 검사 공수, 재작업 등의 눈에 보이는 코스트와 브랜드 이미지의 저하, 매출 기회 손실,
재발주 비용, 재설계비용등 눈에 보이지 않는 코스트가 포함된다.
6시그마의 주요한 지도원리 가운데 하나.
Cost of Quality (COQ) : 품질비용
좋은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데 사용된 모든 비용으로 예방비용, 내부실패비용, 외부실패비용,
기회상실비용 등이 포함된다.
Correlation Analysis : 상관분석
서로 대응하는 두가지 변량의 상관관계의 정도를 1에서 -1까지의 범위에서 수치로 나타내는 분석법
Correlation Coefficient : 상관계수
두 변수 사이의 결합 강도 및 방향을 측정하는 통계적인 값.
Cp (Capability Index, Short Term) : 단기능력
어느 시점에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프로세스의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
Cpk (Capability Indes, Long Term) : 장기능력
프로세서가 요구조건을 장기적, 계속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
Cost of Poor Quality(COPQ) : 저품질비용
품질 문제로 인해 회사에서 지불해야 하는 비용으로, 낮은 수율, 검사비용, 품질 보증비용,
폐기비용, 재작업 비용 등과 같은 눈에 보이는 비용과 브랜드 이미지 저하, 매출기회 손실,
재발주 비용, 재설계 비용 등과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비용이 포함됨
총원가 중 비정상적인 프로세스로 인하여 발생되는 저 품질 비용으로서 모든 프로세스에 결함이
없어진다면 사라지게될 비용
* COPQ가 많이 발생하는 프로세스가 6시그마 프로젝트의 대상이 됨
CPR# (Customer Priority Rank Number) : VOC의 우선도 고객 니즈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기준.
CS(Capability Study) : 프로세스 능력 연구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것을 전제로 각 요인을 평가, 판단한다.
능력 매트릭스는 Cp, Cpk, Cpu, Cpl, Zst (단기 Z값), Zit (장기 Z값), PPM, DPU등 8가지로 이루어 짐.
CSM (Characteristics Selection Matrix) : 특성선정 매트릭스
- 1단계 : 샘플링 계획.
- 2단계 : 단기와 장기의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제품과 프로젝트 퍼포먼스 기준선을 설정한다.
- 3단계 : 프로세스의 잠재적 퍼포먼스를 산출, 추정하고 산포를 제거할 기회를 명확화한다.
- 4단계 : 단기, 장기 Z값과 표준편차를 분석해 그래프로 만든다.
- 5단계 : Z값을 바꿔 본다.
- 6단계 : 목표구간의 방향을 결정하고 목표에 바탕하여 계획을 수립한다.
C-S-I 절차
Chart-Solve-Implement의 약자로서 문제해결과 영구적 개선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과정을 찾기 위한
체계적 절차이다.
이것은 통계적인 용어로 문제를 정의; 문제를 유발한다고 의심되는 변수 열거; 변수의 우선순위화 ;
핵심 변수와 교호작용의 평가; 중요 변수의 조건을 최적화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CTQ(Critical To Quality)
CTQ는 고객이 생각하는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CTQ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통해 결정되는데 고객과의 대화, 시장조사, QFD 등의 연구에서 주로 규명된다.
경영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치명적인 품질특성, 핵심변동요인에 초점을 맞춘다.
6시그마의 주요한 지도원리 가운데 하나.
6시그마 활동을 통한 개선 대상이 되며 비즈니스 용어로 전환된 고객의"핵심요구사항"이다.
C&E Diagram(Cause and Effect Diagram) : 특성요인도
보통 사람, 재료, 방법, 환경, 장비, 측정시스템 등의 공통적인 범주로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나타내는
문제 분석 기법(5M + 1E)
물고기 뼈의 모양을 하고 있어 Fishbone Diagram이나 창안자의 이름을 따서 Ishikawa Diagram이라고도 함.
5M + 1E (Materials, Measurements, Machines, Methods, Men&Women, Environment)
Dashboard : 고객이 생산자의 품질특성을 평가하는 도구.
Degree of Freedom : 자유도
모집단의 모수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독립적인 관측값의 수를 말하며, 데이터 수에서 추정해야 할
모수의 수를 뺀 값으로 정의하기도 하고, 분산분석에서는 서로 다른 편차의 개수에서 선형제약
조건의 수를 뺀 값으로 정의한다.
Density Function : 밀도함수
The function which yields the probability that a particular random variable takes on
any one of its possible values.
Descriptive Statistics : 기술통계
데이터를 수집, 정리, 분석 평가하는 일련의 통계기법.
DFSS (Design For Six Sigma) :
DMAIC는 기존 프로세스이 개선시, DFSS는 새로운 제품및 프로세스 개발시 적용되는 6시그마 추진기법
기본 Step(DMADOV) Define-Measure-Analyze-Design-Optimize-Verify
신제품 개발 단계의 6σ 설계능력 확보를 위한 개발단계 사전품질 확보절차.
고객의 CTQ를 만족시키기 위해 6시그마 품질에 도달할 수 있는 상품(서비스) 및
프로세스를 디자인 하는 것임. DFSS는 새로운 프로세스를 도입하거나,
현재 프로세스가 매우 불안정하거나 한계에 도달했을 때 사용됨
→ 과제수행을 위한 문제점의 정의
→ 고객/기술적 요구사항 및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CTQ를 찾아냄
→ 새로운 프로세스나 상품에 대한 컨셉도출 및 상위레벨 디자인
→ 강건하고 뛰어난 프로세스나 상품의 상세 디자인 및 능력검토
→ 최적조건의 시험적용, 개발성과에 대한 능력분석 및 문서화/표준화
ex) R&D/마케팅 분양 DFSS과제
Discrete data : 이산형 데이터
무한히 분해될 수 있는 규모로 계량화되지 않은 데이터. 특성이나 범주의 총계, 비례, 비율
(예를 들어, 성, 대출유형, 부서, 입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속성 데이터'로서 간주된다.
DMAIC
Define → Measure → Analyze → Improve → Control
6시그마 과제추진의 방법론의 하나로 기존으 프로세스를 개선할 때에 적용됨
→ 비즈니스 기회 분석 및 고객 조사 등을 통한 개선 기회 정의 단계(Define)
→ 품질핵신인자인 CTQ의 현 수준 파악을 위한 측정단계(Measure)
→ CTQ에 영향을 주는 치명적 소수인자(Vital Few X´s)를 찾아 내는 단계(Analyze)
→ 근본원인에 대한 세부 개선안을 찾아내고 시험 적용 개선하는 단계(Improve)
→ 개선안이 지속적 유지 관리되고 best practice를 공유하는 단계(Control)
DMP (Defect Per Million Opportunities) : 100만 에러기회당 결함 수 = 결함 수 / TOP
DOE(Design of Experiment) : 실험계획법
출력 변수에 영향을 주는 핵심 원인 변수를 찾아내기 위한 기법으로써 목적에 맞는 적절한 실험 design을
선정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반응(Y변수), 인자(Factor), 수준(Level), 블록의 선택 또한 무작위화
(Randomization) 및 Replication의 처리 방법도 포함된다. 실험 계획법은 주요 인자를 가려내기 위한
"Screening" 및 인자 수준을 최적화하기 위한 "Optimization"으로 분류된다.
DPMO (Defect Per Million Opportunity) : 백만개 기회당 결함 수.
DPO (Defect Per Opportunity) :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기회당 나타날 수 있는 결함 수를
의미하며 발생한 결함 수를 전체 기회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DPU (Defect Per Unit) : 하나의 단위에 존재하는 결함수의 비율을 의미하며,
발생한 결함 수를 전체 단위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단위당 결함 수 = 에러 수/단위
Effectiveness : 효과성
프로세스 산출물이 고객들의 요구 (예를 들어 적시 배달, 규격 준수, 서비스 경험, 정확성, 부가가치
특성들, 고객 만족 수준)를 얼마나 잘 만족시키는가에 관련된 측정. 고개 만족에 주로 연결된다.
Efficiency : 효율성
프로세스 산출물 (예를 들어 프로세스의 원가, 총 주기, 소비된 자원, 결점 폐기, 폐기물의 원가)을
산출하는 데 있어서 사용되는 자원의 양에 관련된 측정. 회사 수익성에 주로 연결된다.
External Failure Cost : 외적 실패비용
제품이나 서비스가 고객에게 전달된 후 문제가 발견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생한 품질보증,
교환, 환불,고객 불만처리 등의 비용.
Factor : 인자
특성 값에 영향을 주는 원인 중에서 실험에서 취급된 원인을 말하며 요인이라고도 한다.
FMEA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 고장유형 영향분석
잠재문제의 규명을 통해 문제예방을 하고자 하는 분석적 기법.
고장유형(Failure Mode)과 고장영향(Failure Effect)을 분석하는 것.
고장유형이란 일정한 비율로 부품이나 프로세스에 결함이 생기는 것.
고장영향이란 고장유형을 예방하거나 기선하지 않았을 경우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의 정도.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부품을 찾아내고, 이 부품들의 고장모드가 타 부품과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과
고장의 원인을 Bottom-Up 방식으로 조사하는 방법이다.
즉, FMEA는 시스템이나 기계의 잠재적인 고장모드를 찾아내어, 시스템이나 기기의 영향을 미치는
고장모드에 대하여 적절한 대책을 수립 함으로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방법이다.
F-Ratio
두 개의 변동(variation)을 비교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계량.
분산분석(ANOVA)에서 F-Ratio는 우리가 이해하는 변동을 이해하지 못하는 변동으로 나눈 것이다.
Fool-Proof System : 에러 방지 시스템
작업자가 실수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실수를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해주는 일종의 메카니즘이다.
Fool-Proof System 제품에 결점을 유발하는 이상요인을 제거하거나, 양품인지, 불량인지를 손쉽게
적은 비용으로 검사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Force field analysis : 역장 분석
데이터에 대해서 지원하거나 작업하는 힘/요소들을 확인하는 것. 페이지의 한 면에 열거된 '제한' 요소들,
다른 면의 '촉진 요소들', 강점 (긍정적인 아이디어)을 강화하고 약점과 방해물을 극복하는 데 사용된다.
FTA (Fault Tree Analysis)
어떤 사고나 불량의 발생에 개입한 사람의 실수나 설비의 고장, 또는 환경적인 요인들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그중 중요한 부분의 실수나 결함을 제거 함으로서 최종사태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법이며,
결함요인계 해석, 고장요인계 해석, 또는 불량요인계 해석이라고 말함.
Green Belt (GB)
과학적인 기법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6시그마 개선활동 전문가로서 개선프로젝트와 담당업무를
병행하여 수행한다.
Gage R&R (Gage Repeatability & Reproducibility)
측정시스템 자체가 공정의 변동 값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검토하는 방법이며, 측정의 반복성과
재현성으로 구성.
Hidden Factory : 숨겨진 공장
품질 문제로 인한 불량 발생시 재작업을 하는 경우 재작업 프로세스를 숨겨진 공장
(Hidden Factory)이라고 함
품질 문제로 인해 부가적으로 생성된 숨겨진 공장으로 인해 프로세스 효율은 떨어지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됨
Histogram : 히스토그램
일정 기간동안 수집된 길이, 무게, 시간, 경도 등을 측정하는 데이터(계량치 데이터)가 어떠한 분포를
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데이터가 존재하는 범위를 몇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 들어가는
데이터의 출현도수를 세어서 도수표를 만든 다음 이를 막대그래프로 도형화 한 것이다.
HOQ (House of Quality)
품질주택의 영어 약자로서, 특히 신제품 개발할 때 논의를 가능케 해주는 품질기능 전개의 핵심 수단이다.
Hypothesis Testing : 가설검정
모집단의 모수에 대하여 가설을 세우고 이 가설의 진위를 표본의 정보를 토대로 판단하는
과정을 가절검증 또는 간단히 검정이라고 함
Interaction : 교호작용
두 인자 이상의 특정한 인자수준의 조합에서 일어나는 효과를 말한다
Internal Failure Cost : 내적 실패비용
제품이 고객에 전달 되기 전에 문제가 발견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생한 재작업, 폐기 등의 비용.
KCI(Key Customer Issue) : 고객 주요요구사항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 주요사업전략
KPIV (Key Process Input Variable)
프로세스의 주요 Input 요인을 총칭하는 말로 예를 들어 Cost, 시간, 빈도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KPOV (Key Process Output Variable)
프로세스의 주요 Output 변수. 각 프로세스가 낳은 성과로서 요인간 인과관계가 KPOV를 좌우한다.
KPOV는 CTQ, VOC와의 정합성이 중요하다.
Level : 수준
실험을 하기 위한 인자의 실험조건.
Linearity : 선형성
Gage의 정해진 작동범위내에서 정확도를 비교함으로써 평가된다. 즉, 정해진 작동범위의 양쪽
한계구간에서 최소한 각각 1회의 정확도를 검토해서 얻어진 값의 차이임. 또한 Gage는
일반적으로 작동범위(또는 규격치)한계에서는 상한치보다 하한치쪽에서 Gage의 정확도가 나쁨.
Line Balancing
자동차, 가전을 중심으로 흐름작업을 가능하게 한 이론. Line Speed와 작업자수의 Balance가 연구대상.
Long Term Process Capability Index : 장기공정능력지수
공정에 외부적 영향이 있다고 판단되는 충분한 긴 기간의 공정능력을 나타내는 지수.
Long term 시그마 수준
장기간에 프로세스가 나타내는 모든 변동이 반영된 것으로 우영원인과 이상원인이 모두 반영된
테이터를 가지고 구함
장기란 데이터 수집기간이 통상적으로 35개월 이상의 기간을 말하나 프로세스에 따라 그 기간을
일정하지 않음(장기 또는 단기의 판단은 MBB에 의해 결정됨)
LSL (Lower Spec. Limit) : 규격하한
프로세스 관리기준의 하나로서 이 값보다 큰 것은 모두 규격 외로 취급한다.
Main Effect : 주효과
인자의 수준변화에 따라 특성 값이 변화는 효과를 의미한다.
Malcolm Baldrige Award (말콤보드릿지상)
미국에서 품질향상을 목적으로 1998년부터 제조부문, 중소기업부문으로 나누어 기업에게 수여하는
품질경영상.
Master Black Belt (MBB)
6시그마 경영전문가로서 개선 프로젝트 실행의 지도 전담자로서 Black Belt가 수행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자문과 지도를 하며, 실행과정에서 생기는 각종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지원한다.
MSA (Measurement System Analysis) : 계측시스템분석
측정시스템에 관련된 측정 데이터의 편차의 형태ㆍ양에 관한 정보를 얻는 것.
새로운 측정기기를 인정하기 위한 기준을 정비한다. 계측시스템은 측정자, 측정설비, 자재, 계측방법,
계측환경으로 구성된다.
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
평균고장간격시간의 영어 약자로서 고장이 나도 수리해서 쓸 수 있는 제품에서 수리완료에서
다음 고장까지의 평균시간을 의미한다.
MTTR (Mean Time To Repair) : 평균 수리 복구시간
수리가능 System, 기기, 부품 등 수리 시간의 평균치.
귀무가설 : Null Hypothesis
사상이 우연한 분포를 따른다는 가설
NVA (Non Value Added)
제품의 기능, 특징 등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않는 업무와 활동. Line 교체시간, 운반, 검사, 재작업,
분류, 재주문처리 등.
Normal Distribution : 정규분포
A continuous, symmetrical density function characterized by a bell-shaped curve, e.g.,
distribution of sampling averages.
OI(Operational Improvement) : 운영개선
Opportunity : 개선기회
결함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 한 과정의 상품/프로세스에서 기준으로부터 벗어나는 개선기회의 수
Parameter : 모수
모평균, 모분산, 모비율 등과 같이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척도.
PFMEA (Process Failure Modes and Effect Analysis)
프로세스의 고장유형(Failure Mode)과 고장영향(Failure Effect)을 분석하는 것.
PFMEA에 의해 프로세스의 고장유형과 관련된 리스크를 분석할 수 있다.
Pilot Test : 시범테스트
개선된 프로세스를 실제 환경에 가까운 자료들에 의해 시험하기 위한, 시험 활동을 의미한다.
Pilot은 확인된 근본원인과 선택된 해결안의 인과관계를 계량화하고 이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제 현업에 개선된 프로세스를 적용 하기 전에 개선안을 사전에 검증할 수 있다.
Population : 모집단
통계분석의 대상이 되는 단위원소의 총집합
PPM (Parts Per Million)
불량률을 백만 단위로 환산한 값으로 백만개의 제품당 불량품이 출현하는 숫자를 의미한다.
Ppk (Preliminary Process Capability) : 예비 공정능력
개발단계 소 시료로 공정능력 평가, 양산성을 검증하는 통계적 기법.
Pre-control Chart
타점과 해석의 용이함을 위해 공정의 안정상태를 판단하는데 공차를 사용하는 차트.
공차한계내의 영역을 red, green, yellow로 나누어 각 개별 데이터들을 판단한다.
Prevention Cost : 예방비용
품질문제를 사전에 피하기 위해서 발생된 교육, 계획 등의 비용
Probability : 확률 The chance of something happening; the percent or
number of occurrences over a large number of trials.
Process : 공정
고객의 요구에 의하여 자원 및 정보를 제품과 서비스로 변환시키는데 필요한 일련의 활동과 작업.
Process Capability : 프로세스 능력
CA, CS를 포괄하는 개념(Process Mapping).
프로세스 맵핑 측정단계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시각적으로 프로세스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KPOV를 분명히 한다.
개선단계에서는 NVA(비부가 가치작업)을 없애고 VA(부가가치작업)를 효율화해야 할 지점을 밝혀준다.
C단계에서는 업무 기능에 들어있는 문제점을 밝혀준다.
Process Capability Index : 공정 능력지수
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 변동이 어느 정도인가를 양적으로 정량화시킨 값으로 공정의 능력을
측정한 지수를 의미함.
Process Control : 공정관리
Process Map
프로세스를 그림으로 구체화시킴으로써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과정을 시계열별, 기능별 혹은
담당 부서별로 나타내고 각 부분의 연결과정을 도시화 한 것.
Process Owner(PO)
현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현업부서 관리자로서 해결안 도출 및 실행시 조직과 자원을
지원하고, 향후 개선된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개선안에 대한 성과측정 및 성과입력을
담당함
Project : 과제
일반적으로 어느 특정 목적으로 실시되는 프로그램 설계나 연구개발 계획, 건설 공사 등 한번에
그치는 성격을 갖는 일이나 사업을 의미함.
6시그마에서 사용되는 과제는 회사의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 추진되며, 표준화된 6시그마 과제
수행방법론에 따라 수행되는 프로세스 개선 및 개발 활동을 의미함
Project Scope : 과제수행범위
과제를 통한 개선할 상품이나 프로세스의 영역-시작점 및 끝점.
과제 팀이 활용할 수 있는 자원에 대한 범위 및 영역의 명확화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품질기능전개
사용자의 요구를 대용특성으로 전환하여 완성품의 설계품질을 정하고,이를 각 기능 부품의 품질,
그리고 개개의 부품 품질과 공정의 요소에 이르기까지 이들간의 관련을 계통적으로 전개하는 것.
목적: 품질보증과 신제품 개발을 설계단계부터 동시에 진행 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활동이며
신제품의 단기개발과 품질확보를 순차적으로 추진시킬 수 있다.
Quality Characteristics : 품질특성
무게, 수명, 강도, 디자인 등과 같이 제품의 품질을 나타내는 요소.
Quality Characteristics Value : 품질특성 값
품질특성을 측정하여 수치로 표현한 것.
Quick Fix(Quick Win 또는 Quick Action)
6시그마 기법을 이용한 문제해결 과정 중 별도의 분석 없이 즉각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간단한 개선책
프로세스에 대한 측정 및 분석 이전에 간단한 프로세스 매핑 등의 정상적 분석만으로 큰 개선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간단한 개선기회를 찾아 문제를 쉽고 빠르게 해결하는 것임
Random Sample : 랜덤표본
랜덤추출을 통하여 얻어진 모집단의 일부인 표본.
Random Sampling : 랜덤추출
모집단을 잘 대표할 수 있도록 모집단을 구성하는 모든 원소마다 표본으로 선택될 확률이 같고,
한 원소의 선택이 다른 원소의 선택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어떤 인위적인 요소가 없이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Randomization
실험단계의 배정 또는 실험순서를 랜덤하게 결정하는 것으로 선택된 요인 외에 기타원인들이
실험결과에 영 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안이다.
Regression analysis : 회귀분석
두 개 이상의 변량을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로 나누어 독립변수의 일정값과 종속변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법.
Repeatability : 반복성
반복 측정시에 발생하는 측정변동으로서, 한 사람의 측정자가 동일특성에 대하여 동일한 계측기로
반복 측정하였을 때 얻어지는 변동이다
Reproducibility :재현성
측정 사람간에 발생하는 측정변동으로서 서로 다른 측정자가 동일부품의 동일특성에 대하여
동일한 계측기로 반복 측정하였을 때 얻어지는 변동이다.
RSM(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반응표면분석
반응변수와 설명변수들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최적조건을 찾는 것이 주목적인 통계적 분석방법이다.
Residual : 잔차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함수관계를 어떤 회귀식으로 나타내고자 할 때 관측된 종속변수의 값과
예측된 종속변수의 값과의 차를 나타낸다. 잔차는 설명되지 않는 편차를 의미한다.
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반응표면분석의 영어 약자로서 반응변수와 설명 변수들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최적조건을 찾는 것이
주목적인 통계적 분석방법.
RTY (Rolled Throughput Yield) : 종합수율
전체적인 수율과 각 프로젝트의 수율의 관계를 구체화하는 개념.
산점도 : Scatter Diagrams
계량적인 요인이나 특성에 대한 두 변량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각의 변량을 가로축과
세로축에 취하여 데이터를 타점한 그림
Scorecard : 채점표에 해당하는 말로 내부적인 관리 도구로서 활용.
Screening : 인자 선별 우선 순위
실험을 할 때 선정된 많은 인자 중에서 어떤 인자가 중요한가를 단계적으로 선별하는 방법을 지칭한다.
Short Term Process Capability Index : 단기 공정능력지수
공정에 외부적 영향, 다시 말해서 온도변화, 작업자 변경, 원자재 변경 등이 없다고 판단되는
짧은 기간 동안의 공정능력을 나타내는 지수.
Short term 시그마 수준(Zst)
프로세스에서 낼 수 있는 최대 품질 수준으로써 우연 원인만 반영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함
대립가설(Alternative Hypothesis, H1, Ha)
귀무가설에 대립되는 가설로 변화 또는 차이의 진술문으로 과제 리더가 일반적으로 주장하고
싶은 가설
Sigma : 시그마
시그마는 그리스 문자로서 평균을 중심으로 떨어진 상태와 분포를 나타냄
사업이나 프로세스의 경우 시그마 값은 해당 프로세스가 얼마만큼 잘 수행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가 됨
Significance Level : 유의확률
흔히 P-Value값 이라고 부르며 가설검정을 할 때 귀무 가설의 기각여부를 결정할 때 사용된다.
유의확률이 사용하고자 하는 유의수준 보다 작으면 귀무 가설은 기각될 수 있고, 유의확률이 크면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게 된다.
Significance Probability : 유의확률
흔히 p-값(p-value)이라고 부르며 가설검정을 할 때 귀무가설의 기각여부를 결정할 때 사용된다.
유의확률이 사용하고자 하는 유의수준보다 작으면 귀무가설은 기각될 수 있고, 유의확률이 크면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게 된다.
SIPOC
공급자(Supplier), 투입물(Input), 프로세스(Process), 산출물(Output), 그리고 고객(Customer)의 약어.
'한 눈'에 높은 수준으로 프로세스를 볼 수 있게 한다.
Six Sigma (6σ)
σ(시그마)는 그리스 문자이며, 어떤 프로세스나 절차가 중심(평균)을 주위로 얼마나 퍼져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제조공정을 포함한 기업의 프로세스에서 시그마는 프로세스가 얼마나 훌륭히 수행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Sigma값이 클수록 더 좋은 상황이다.
시그마는 프로세스가 결함이 없이 수행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한다.
결함이란 고객의 불만을야기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Six Sigma의 기본 Step (MAIC)
- M(Measurement) 측정.
- A(Anality) 분석.
- I(Improvement) 개선.
- C(Control) 개선결과를 정착시키기 위한 관리.
S/N비 (Signal To Noise Ratio)
신호대 잡음비율로 신호입력의 힘과 잡음이 주는 영향의 힘을 비율로 나타낸 것.
SOP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 표준업무처리절차
표준작업 절차로서 각 프로세스 단계마다 사용되는 명확하게 기술되고 실행된 작업지시서
SPC (Statistical Process Control) : 통계적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Output의 데이터를 관리한계와 비교하여 모니터링하고 불안정한 패턴이나 관리이탈 상황이
발생하면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과학.
시간순으로 불량율과 같은 Output의 샘플을 반복적으로 통계량을 구해 프로세스의 행태를 표현한다.
QC의 7가지 도구 가운데 하나. 특정 그리고 전체 프로세스를 평균값과 편차 두가지 지표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방법. 평균, 편차 각각의 값의 관리한계를 설정하고 경향을 관리한다.
Specification Limit : 규격한계
품질특성에 대하여 허용되는 한계 값.
- Upper Specification Limit(상한규격)
- Lower Specification Limit(하한규격)
SQM (Standard Quality Management)
선도적 품질, 원가 및 고객만족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준을 설정, 데이터를 분석 평가하고 피드백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정의 input / output 산포를 6σ수준으로 개선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Statistic :통계량
표본평균( x ), 표본분산( s ), 표본비율( p ) 등과 같이 모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표본관측값들로부터
계산되는 값.
Statistical Inference : 통계적 추정
샘플 집단의 데이터에서 전체를 추정하는 통계비법.
Statistic Hypothesis : 통계적 가설
모집단에 대한 주장이나 추측을 말하며 귀무 가설과 대립가설의 두 가설을 설정하여, 표본데이터의
정보를 토대로 두 가설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게 된다.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 통계적 가설검정
표본데이터를 기초로 실험자가 주장하고 싶은 가설의 옳고 그름을 판정하는 통계절차.
Statistical Inference : 통계적 추정
샘플 집단의 데이터에서 전체(모집단)를 추정하는 통계기법
Stability : 안정성
완성품을 동일한 계측기를 사용하여 동일한 특성치에 대하여 시간간격을 두고 측정하였을 때
얻어지는 측정치의 변동이다.
Team Charter : 팀차터
6시그마 과제 수행단계 중 정의(Define) 단계의 주요산물로서 무엇이 문제이고 목표가 무엇인지
명확히 기술한 챔피언과의 계약서
과제의 배경, 개선기회, 과제목표, 과제 수행범위, 추진일정 및 팀 구성을 요약한 것으로,
팀의 활동을 사업 목표에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팀원들에게 구체적이고 명확한 활동을 제시
해 주며, 과제 활동 사항을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사용됨
TDU (Total Defects Per Unit) :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단위당 총 결함 수
TOP (Total Opportunities) = unit x op / unit) : 총 에러 발생기회수 = 단위수×에러 기회 수
TQC (Total Quality Control)
전사적 품질관리의 영어 약자. 제품과 서비스가 가장 경제적으로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품질개발,
품질유지 및 품질향상에 대한 조직내의 여러 그룹의 노력을 통합하는 효과적인 시스템을 말한다.
TQM (Total Quality Management) : 총체적 품질관리
경영품질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USL (Upper Spec. Limit) : 규격상한
프로세스 관리기준의 하나로서 이 값보다 작은 것은 모두 규격 외로 취급한다.
VA (Value Added)
제품의 기능ㆍ특징 등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업무와 활동, 조립, 도장, 청구서 작성, 재료 수령 등.
Variation : 변동
어떤 특성 값에 대하여 각 데이터 값들이 평균값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제곱의 합으로 나타낸 값.
Vital Few : 출력 특성 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서 커다란 영향을 주는 치명적 소수인자를 의미.
Vital Few X`s : 핵심 원인 변수
핵심품질인자 출력 특성치(CTQ(Y))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서 커다란 영향을 주는 치명적
소수인자로서 이의 개선을 통해, 최종적으로 얻으려는 품질 목표를 달성함
VOB(Voice of Business)
경영진, 종업원, 주주 등 기업 내부에서 발생되는 개선 요구사항, 사업전략, 부서간 업무 요구사항 등
VOC (Voice of Customer) : 고객의 소리
고객이 원하는 주관적, 정성적 품질 특성으로 고객의 요구 품질을 지칭한다.
Yield : 수율
공정의 각 단계에서 재작업 또는 부품폐기 등의 불량을 고려하여 공정의 품질을 관리하는 지표.
Zero Defects : 무 결점
불량이 0인 이상적인 품질수준.
Zst : 단기 Z값
단기능력( 30~50의 데이터 포인트로 이루어지는 시간 단위의 능력 )
Zlt : 장기 Z값
장기능력( 100 ~ 200의 데이터 포인트로 이루어지는 시간단위의 능력 )
Z-Transform : Z변환
단위분포로 변환하는 공식. Z변환 = (경계 값-평균 값) / 표준편차
%Study : 전체변동에 대한 Gage 변동비를 말하며, 부품이 좋고, 나쁨을 판단한다.
%Tolerance : 규격대비 Gage 변동비를 말하며, 부품간의 변동은 고려하지 않는다.
가 ~ 하
검정 : Test
모집단의 모수의 값이나 확률분포에 대하여 어떤 가설을 설정하고, 이 가설이 옳은가의 여부를 샘플의 데이터로 판단하여 통계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
결점 : Defect
검사단위가 규격·도면 등의 요구사항에서 벗어나 있는 부분.
경 결점 : Minor Defect
실용성 또는 유효사용, 조작 등에는 거의 지장이 없다고 예상되는 결점.
계량치 : Variable data
연속 량으로서 측정되는 품질특성의 값. 길이·질량·시간 등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대부분의 값은 계량치이다.
계수치 : Attribute data
불량품의 수, 결점의 수 등과 같이 개수를 세어 얻어지는 품질특성의 값. 불량율, 평균 결점수 등도 계수치에 포함된다. 샘플링 검사에서 사용되는 일이 많음.
계량형 관리도 : Variable Control Chart
길이,중량,강도,부피 등과 같은 계량형 품질특성 치를 사용하여 작성된 관리도.
계수형 관리도 : Attribute Control Chart
부품의 개수,불량율과 같은 계수형 품질특성 치를 사용하여 작성된 관리도.
계수 샘플링검사 : Sampling Inspection By Attributes
시료를 시험하여 검사단위를 양품과 불량품으로 나누고 또는 결점의 수를 세어서 그것에 근거하여 검사 LOT의 합격, 불합격을 판정하는 샘플링 검사.
계량 샘플링검사 : Sampling Inspection By Variables
시료를 시험하고, 특정검사항목에 대하여 계량치로서 얻은 측정결과를 연산을 하여 그 결과를 사전에 구한 기준치와 비교하여 검사 Lot의 합격,불합격을 판정하는 샘플링검사.
계측기 반복성 : Gage Repeatability
1명의 측정자가 동일부품의 동일특성을 동일한 계측기를 사용하여 비교적 단시간에 측정하였을 때 얻어지는 측정치의 변동이다.
계측기 변동 : Equipment Variation - EV
계측기 변동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크면 반복성이 나쁘다.
계측기 안정성 : Gage Stability
동일부품을 동일한 계측기를 가지고 시간의 간격을 두고 측정하였을 때 얻어지는 교정 량의 총평균치의 차이.
계측기 재현성 : Gage Reproducibility
동일부품의 동일특성을 동일한 계측기를 가지고 여러 명의 측정자가 측정하였을 때 측정자들간의 측정치의 변동이다.
계측기 정밀도 : Gage Precision
계측기의 반복성과 재현성을 합쳐서 정밀도라 한다. 즉 반복 측정한 경우와 서로 다른 측정자가 측정한 경우의 산포의 차이를 정밀도라 한다.
계측기 정확도 : Gage Accuracy
어떤 측정법으로 동일시료를 무한회수 측정하였을 때 그 데이터의 분포의 평균치와 참값과의 차를 치우침이라고도 하고 정확성이라고도 한다.
계측기 R&R : Gage Repeatability & Reproducibility
계측기의 반복성과 재현성, 이로 인한 오차가 공차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구해 계측시스템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기법.
공정관리 : Process Control
원자재의 구입부터 최종 완제품의 인도에 이르기까지 전체의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물품의 흐름에 대해 지시하고 조정하는 활동.
공정능력 : Process Capability
범위( Range )로서 표현되는 일을 반복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능력이다. 통계적으로 능력은 6X 표준편차로서 정의된다.
공정능력은 안정된 조건 하에서 측정해야 의미가 있다.
공차 : Tolerance
규정된 허용 최대치와 최소치와의 차.
관능검사 : Sensory Test
인간의 감각으로 품질을 평가하는 검사를 말하며, 질 자체가 관능적인 경우나 능률면에서 볼 때 대용특성으로 관능 평가하는 편이 유리한 경우에 사용된다.
관리계획서 : Control Plan
특정제품의 재료의 공급에서 완성품의 출하, 납입에 이르기까지의 공정을 도시하고 각 공정의 관리점과 그 관리방법을 명백히 밝힌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공정은 어떻게 배열되고, 공정에서 어떤 특성을 살피고, 누가 공정을 살피며, 어떤 관리도를 사용하는가를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도록 나타낸 것이다.
관리도 : Control Chart
시간의 변화에 따라 Output의 샘플로부터 얻어진 통계량을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 이것은 프로세스에서 정상적인 상태와 이 상태를 구분하기 위한 경계인 관리한계(Control Limit)와 중심선을 가지고 있다.
관리이탈 : Out Of Control
이상요인이 존재하는 공정의 상태. 관리도상에서 관리한계 밖에 점이 있거나, 점들이 어떤 패턴을 보이는 형태로 표현된다.
교호작용 : Interaction
두개 이상의 변수( 인자 )가 있을 때, 변수간의 조합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가 하나의 변수에 의한 효과와는 다른 경향을 보이는 것. 예를 들면 변수 A에 의한 효과가 또 다른 변수인 B가 작용하여 B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이다.
구매검사 : Purchasing Inspection
제출된 검사 Lot를 구매해도 되는가를 판정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
규격 : Specification
표준 중 주로 물건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관계되는 기술적 사항에 관하여 규정된 기준, 규격은 두가지 요소, 즉 목표치와 공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규준형 샘플링검사
출하측에 대한 보호와 수취측에 대한 보호의 2가지를 규정하며, 양자의 요구를 만족하도록 조립한 샘플링검사. 즉 출하측에 대하여는 생산자 위험을, 수취측에 대하여는 소비자 위험을 각각 일정한 작은 값으로 정하고 있다.
기본준수항목 SQM 관리항목 구분 중 하나로 공정에 주기적으로 조치를 치하는 항목을 말한다.
예) filter 교체주기, 청소주기 등
동특성 : Dynamic Characteristic
사용자가 원하는 값이 Input 되는 변수의 변화에 따라 목표하는 값이 계속 변화되어 지는 특성.
예) 복사기의 배율, 금전 자동지급기의 지폐량, 차량 회전각.
랜덤 샘플링 : Random Sampling
모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단위체 나 단위량이 두 동일한 확률로「 샘플 」속에 들 수 있도록 샘플링 」하는 것. 런(Run) 관리도의 중심선의 한쪽에 연속해서 나타난 점의 군을 말한다.
런의 길이는 연속되는 점의 수를 말하며 런의 수는 관리도상에 나타난 런의 개수를 말한다.
Lot 판정기준
샘플링 검사에서, Lot의 합격 여부 또는 검사 속행의 판정을 내리기 위한 기준. 즉, 합격판정개수,불합격판정 개수 등.
Lot 허용 불량율 : Lot Tolerance Percent Defective - LTPD
Lot 허용 불량율 이란 샘플링검사에서 합격하는 확률이 어떤 특정한 작은 값으로 되는 Lot의 불량율을 말한다.
망대특성 : Larger the Better Characteristics
원하는 특성치가 크면 클수록 좋은 경우 강도, 연료효율, 내구성, 수명, 출력 등.
망소특성 : Smaller the Better Characteristics
원하는 특성치가 적으면 적을수록 좋은 경우. 마모, 수축, 진동, 공기저항, 제동거리 등.
망목특성 : Nominal the Best Characteristics
원하는 특성치가 특정한 목표에 일치하면 좋은 경우. 길이, 중량, 점도, 전압, 전류, 클러치 유격 등.
모집단 : Population
조사 연구의 대상이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전체집단,「샘플」이나「데이터」에 의해 조치를 취하려고 하는 전체집단.
반응표면분석 : Response Surface Analysis
세개 이상의 수준을 가지고 있는 여러 인자들의 최적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반응을 인자와 교호작용의 함수로서 표현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범위 : Range
데이터 중에서 최대 값과 최소 값의 차이.
변동계수 : CV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값. 평균에 비해 표준편차가 얼마나 큰가에 대해 상대적인 크기를 알 수 있다.
변동 : Variation
산포. 공정의 개별 값들간에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차이를 말한다.
변동의 원인은 우연요인과 이상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보정의 원리 : Forgiving Principle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원류공정의 관리를 철저히 하기 이전에, 원류공정으로부터 넘어온 문제에 대해 후 공정이 문제를 보정할 수 있도록 만들자는 원리.
분산분석 : ANOVA(Analysis Of Variance)
수집된 데이터의 총변동을 두 개의 성분으로 나누는 방법 :
(1) 조절이 가능한 군간 변동
(2) 조절이 불가능한 군내 변동.
분산 : Variance
제곱합을 n-1로 나눈 값을 분산이라 한다.
분포 : Distribution
데이터 집합의 모양. 수평축은 각 데이터 값을 나타내며, 수직축은 값이 나타나는 빈도를 나타낸다. 이것의 이론적 형태를 도수분포라고 부른다.
불안정 : Instability
프로세스의 Output가 관리도상에서 감지할 수 있는 패턴을 보이는 상황 또는 통계적 관리 한계선 밖에 점들이 있는 상황을 말한다.
분할표 분석 : Contingency Table Analysis
특성 값을 몇 개의 범주로 분할하여 그 도수로 자료를 정리해 놓은 표를 말한다. 여러 개의 특성 값들을 비교할 때 평균값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각 범주에 속하는 비율의 비교를 통해 특성 값을 비교하는 데에 사용한다. 의심되는 변수와 Output간에 어느 정도의 관계가 있는지를 결정하기위해 계수치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법. 변수와 Output는 적어도 두 개의 범주로 구분되어야 한다.
분할표분석은 C-S-I의 우선순위화 단계에서 사용된다.
브레인스토밍 : Brainstorming
어떤 한 가지 주제에 관하여 관계되는 사람이 모여 집단의 효과를 살려 아이디어의 연쇄반응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자유분방 하게 아이디어를 내는 방법이다.
산점도 : Scatter Diagram
비교 하고자 하는 두 개의 변수를 X 축과 Y축에 대응하여 각 변수의 DATA를 X, Y평면에 타점한 그래프.
산포 관리항목 :
SQM의 관리항목 구분중 하나로 수치화할 수 있는 항목으로, Spec.이 있고 산포의 변화를 관리하는 실측치 항목과 설비조건을 셋팅하는 항목으로 구분된다. 특히, 산포가 발생한다고 인정되며 품질에 많은 영향을 주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정도에 따라 중요와 일반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상관분석 : Correlation Analysis
두 변수간의 관계가 있는가를 하나의 수로서 나타내어 분석하는 것. C-S-I 우선순위화 단계에서 문제와 변수간에 어느 정도의 관계가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도구이다. Output 특성과 변수가 계량치 데이터일 때 산점도를 사용해 둘간의 함수관계를 표현한다.
상관계수 : Correlation Coefficient : r²
계량형 데이터간에 어느 정도의 관계가 있는지를 측정하는 통계량. 관계가 없을 때는 0, 완전한 상관관계는 +1 또는 -1을 나타낸다.
샘플링 : Sampling
모집단에서 샘플을 취하는 것.
샘플링 검사 : Sampling Inspection
검사 Lot에서 미리 정해진 샘플링 검사방식에 따라 샘플을 발췌하여 시험하고 그 결과를 Lot 판정 기준과 비교, 그 Lot의 합격·불합격을 판정하는 검사.
선별형
샘플링검사 시료를 시험한 결과,불합격으로 판정한 LOT는 전수 선별하는 검사.
수입검사 : Incoming Inspection
생산에 필요한 재료·부품 또는 반제품을 인수할 때, 그 물품을 받아들일 것인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
손실함수 : Loss Function
품질손실을 제품이 다음 공정이나 소비자에게 출하된 뒤에 성능 특성치의 산포로 인하여 사회에 미치는 재정적인 손실로 정의할 때 이러한 손실이 화폐단위로 측정되고 수량화 할 수 있는 제품특성이나 관리방법을 평가할 수 있는 함수. 다구찌 박사가 손실함수에 대한 개념 정의.
신뢰성 : Reliability
시스템, 기기, 부품 등의 규정된 조건에서 의도하는 기간중 규정된 기능을 수행할 확률.
실수 방지시스템 : Mistake-Proof System
불량품이 다음 공정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해주는 메카니즘이다.
실패비용 : Failure Cost
원자재나 제조공정 또는 제품의 규격 등 소정의 품질 수준을 유지하는데 실패하여 불량품이 되거나 수리 또는 재작업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손실비용을 말함. 예) 폐품,재가공,설계변경,서비스
실험계획법 : Design of Experiment - DOE
통계적으로 유효한 결과를 얻어내기 위해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는 계획하는 기법. 제대로 된 실험계획은 여러 변수( 인자 )와 변수간의 교호작용 중에서 어떤 것이 바람직스럽지 못한 공정의 산포를 유발하는 지를 규명할 수 있게 해준다.
에러방지시스템 : Error-Proof System
해당 공정에서 제품에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주는 메카니즘이다.
예방비용 : Prevention Cost
처음부터 불량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예) QC 계획,기술,교육,사무 비용.
오차인자 : Noise Factor
제품 품질성능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제어가 용이하지 않은 비제어 또는 잡음인자 ( 환경, 열화, 제품간의 변동 등 ).
온라인 품질관리 : On-Line Quality Control
검사 및 통계적 공정관리를 포함한 제조시의 공정의 단축, 진단, 조정이나 제품의 사용시에 이루어지는 보전관리 활동을 말하며 피드백 및 적응제어에 따른 온라인 공정관리, 자동검사 등을 통한 온라인 제품관리, 애프터 서비스 등이 이에 속한다.
오프라인 품질관리 : Off-Line Quality Control
제품의 생산단계를 제품설계, 공정설계,제조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존의 품질관리활동은 공정관리나 최종 제품 등의 검사 등을 통해 실시되나 소비자가 사용시에 잡음에 둔감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제품설계나 공정설계에서의 품질관리 활동이 필요하다.
이를 오프라인 품질관리라 하며 시스템 설계, 파라미터 설계, 허용차 설계가 이에 속한다.
완성품 검사/최종검사 : Final Inspection
제조공정의 최종단계에서 완성된 제품 이 시방을 만족하고 있는 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일.
우연요인에 의한 산포 : Random Cause Variation, Common Cause Variation
안정된 상태하에서 존재하는 프로세스 Output의 산포. 이것은 알려지지 않은 프로세스의 변수와 변수간의 교호작용에 의해 유발된다. 관리도는 프로세스의 산포를 우연요인에 의한 것과 이상요인에 의한 것으로 구분해 준다.
유의수준 : Significance Level
제1종의 과오를 범할 최대허용확률로서 α로 표시한다.
이상요인에 의한 산포 : Special Cause Variation, Assignable Cause Variation
프로세스의 불안정은 관리도를 통해 비교적 발견하기 쉬운 프로세스 조건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다.
프로세스의 능력을 결정하기 전에 이상요인에 의한 프로세스의 산포는 제거되어야 한다.
인자수준 : Factor Level
실험에 참여하는 인자들을 조정하고자 하는 레벨
예) RPM 수준 : 3수준 - RPM 280, RPM 300, RPM 320
자유도 : Degree of Freedom
모집단의 모수를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독립적인 측정치의 수. 분산분석의 경우에는 변수의 수준이 여러 개가 있을 경우 하나의 수준에서 다른 수준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경우의 수로 정의할 수 있다.
만약 n개의 수준이 있을 경우 n의 수준에서 다른 수준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경우는 n-1이 된다.
전수검사 : Total Inspection
개개의 물품에 대해 모조리 검사하는 것으로, 100% 검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수검사는 선별과 거의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Lot의 모든 물품을 대상으로 양품과 불량품으로 구분하는 일이다.
정규분포 : Normal Distribution
주사위를 수십회 굴렸을 때와 같은, 우연이 지배적인 많은 현상으로부터 만들어진 도수분포 곡선으로서 평균치에 대한 좌우 대칭의 종 모양의 분포를 하고 있다.
정특성 : Static Characteristic
사용자가 원하는 OUTPUT의 특성값이 언제나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특성.
예) 사용시간이 길어도 건전지의 출력전압을 1.5V로 유지해야 하는 문제.
조정형 샘플링검사
Lot의 수도가 연속해서 실시되고,과거의 검사의 이력 등의 품질정보에 대하여 검사의 방식을 조정하는 샘플링검사.
1) 보통검사 : 공정평균이 AQL과 거의 같다고 볼 때에 하는 검사.
2) 까다로운 검사 : 공정평균이 AQL보다 확실히 나쁘다고 볼 때에 Lot 판정기준을 엄격하게 하여 실시하는 검사.
3) 수월한 검사 : 조정형 샘플링검사에는 공정이 잘 관리되어 있고, 공정평균이 AQL보다 훨씬 좋다고 간주될 때에 시료의 크기를 줄여서 하는 검사.
중결점 : Major Defect
치명결점은 아니나, 검사단위의 실용성을 실질적으로 저하시키고, 초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예상되는 결점.
예) · 사용할 수 없는 것.사용할 때 다시 손질이 필요한 것.
· 사용초기에는 큰 지장이 없으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 등.
중심치 이탈 : Off-Target
Output의 요구되는 목표치와 달성한 목표치간에 차이가 발생한 상황. 설계상의 목표치가 요구되는 목표치라고 할 수 있다.
중점관리항목
SQM 관리항목 구분 중 하나로 공정에서 주기적으로 정상 / 비정상 상태를 점검하여 이상상태이면 조치하는 항목.
예) 에어 분사압력, 히터오염상태
제곱합 : Sum of Square
개개의 측정된 DATA와 평균간의 편차의 제곱을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합한 값.
제어인자 : Control Factor
가장 좋은 수준을 선택하기 위한 인자.예를 들면 염료의 종류, 반응온도, 반응시간, 재료의 종류 등 설계상의 필요한 제반 변수를 말한다.
제1종의 과오 : Type I Error
가설 검정시 귀무가설 H0가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H0를 기각하는 경우에 제1종의 과오를 범했다고 한다. 이 때의 최대 허용확률을 α로 표시하며 유의수준 또는 위험율이라 한다.
업무 프로세스를 관리할 때에는 발생한 미스가 '주목할 만한 미스'인지 '무시할 만한 미스'인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시할 만한 미스'란 확률적으로 우연히 일어난 미스이다.
이 현상이 나타났을 경우에는 국부적으로 업무 프로세스를 검증해 보았자 아마 프로세스의 결함을 찾아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현장과 기술부문 등이 조사
' 경영컨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6시그마가 성공한 11가지 이유 (0) | 2010.08.22 |
---|---|
[스크랩] TRIZ와 6시그마의 차이점은 ? (0) | 2010.08.22 |
[스크랩] 6시그마 주요 용어 25가지 (0) | 2010.08.22 |
[스크랩] 6시그마 관련 명언 57가지 (0) | 2010.08.22 |
[스크랩] 6시그마와 연애의 공통점 (0) | 2010.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