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컨설팅

[스크랩] 6시그마는 무엇인가 ?

루지에나 2010. 8. 22. 17:22
 

6시그마는 GE의 전설적인 인물 잭 웰치에 의해 유명해진 품질경영 혁신기법으로서 1987년 모토롤라의 마이클 해리로부터 출발했다. 당시 정부용 전자기기 사업부에서 일하던 해리는 어떻게 하면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까를 고민하던 중 통계지식을 활용하자는 데서 착안을 하게 되었다. 이후 Texas Instrument(1988년), GE(1995년), IBM, AMEX, 소니 등 주요 기업들이 도입하여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96년 삼성SDI, LG전자 등을 선두로 하여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주요 대기업들이 도입을 본격화하여 확산 중에 있으며, 행정기관으로는 한국철도공사, 정보통신부 등이 도입 활용하고 있다.

 
 

시그마(σ)란 통계학 용어로 평균값을 중심으로 흩어진 정도(散布度), 

 '표준편차'를 의미

  *

시그마(sigma, ∑, σ)의 辭典내용 : ①그리스어 자모의 열여덟째 글자,

②수학에서, 같은 종류의 수치의 합계를 나타내는 기호인 '∑'의 이름

품질관리에서는 시그마가 제품 품질수준(불량정도)을 표시하는 척도로 사용됨
  - 6시그마는 100만개의 제품 중 3.4개만이 불량품(거의 무결함 수준)
6시그마 경영은 생산현장의 품질관리(TQM)개념을 경영에 확대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현업업무에 더 효과적인 기법이나 화이트칼라업무에도 구분 없이 활용
6시그마(Sigma) 경영은 통계척도를 사용하여 품질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
하고, 문제해결과정과 전문가 양성 등의 품질문화를 조성하여 품질혁신과
고객만족을 달성하기 위해 전사적(全社的)으로 실행하는 기업경영전략이다.
  -
모든 프로세스(process)의 품질수준이 6-σ를 달성하여 불량률을 3.4PPM(parts per million:제품 백만 개당 불량품수) 또는 결함 발생수 3.4DPMO(defects per million opportunities) 이하로 하고자 하는 기업의 품질경영기법이며, 품질개선 노력을 중요시하는 기업문화의 정착까지를 추구한다.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핵심인력들이 팀을 이루어 혁신활동을 전개
  -
6시그마경영의 추진요원은 역량과 역할에 따라 ①챔피언 ②마스터 블랙벨트(MBB) ③블랙벨트(BB) ④그린벨트(GB) ⑤팀원 등으로 구분
    · CEO가 챔피언들의 상위에 위치하며 6시그마활동에 직접 관여
  - 추진과정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요원은 「블랙벨트(BB)」
    ·
BB는 프로젝트 팀의 구성, 구성원에 대한 교육, 문제해결을 위한 컨설팅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젝트 리더
    * 자체 인력 중 BB가 양성되면 독자적인 추진요원양성체제를 갖추게 되어 지속적 추진 가능
양질의 혁신 전문가들(특히 BB)의 양성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성공의 관건
  - GE의 경우 BB 이상의 자격을 보유한 인력이 전체 종업원의 2∼4% 수준을 유지
< 6시그마경영의 추진요원 >
구 분 위상(요건) 세 부 역 할
챔 피 언
(Champion)
최고책임자
(사업부장)
- 6시그마경영의 비전과 전략 수립
- 프로젝트 추진상의 장애물 제거 및 지원
- 프로젝트 성과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마 스 터 블랙벨트
(MBB)
전문 추진 지도자
(BB 10명 지휘)
- 챔피언을 보좌
- 해당부문 BB에 대한 자문과 지도
- 문제해결 과정에서 생기는 각종 애로 처리
블랙벨트
(BB)
전문 추진 책임자
(BB 자격 획득,
리더십 보유)
- 프로젝트 수행 전담(full time)
- 교육 및 문제해결을 위한 컨설팅
- 그린벨트 양성 교육 담당
그린벨트
(GB)
현업담당자
(기본교육 이수자)
-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기본문제를 해결
- 개선 프로젝트와 고유 업무를 병행
- BB의 팀원 교육을 보조
팀 원
현업담당자
- 프로젝트 개선활동에 참여

출처 : 6시그마는 무엇인가 ?
글쓴이 : 캄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