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컨설팅

[스크랩] 6시그마에서의 TRIZ의 활용

루지에나 2010. 8. 22. 17:22

원제: Enhance Six Sigma Creativity with TRIZ

저자: Ellem Domb, Ph.D. (The TRIZ Journal 편집장)

출처: Quality Digest, October, 2004

- 요 약 -

생산현장에서 시작된 6시그마는 기업의 전 프로세스로 확산되어 혁신을 위한 기본철학으로

뿌리 내리고 있다. 하지만 사무간접부문의 6시그마 프로젝트 추진시 창의적사고를 위한

툴이 다소 취약하다. 대부분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개선안을 도출하며, 그 결과 개선안

자체가 타성에 젖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보고서는

최근 연구개발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트리즈(TRIZ)가 6시그마 프로젝트의 개선안

출 기법으로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트리즈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비즈니스 분야의 적용 사례를 통해 서비스 및 사무간접부문의 트리즈 활용 방향을

모색해 본다.

주: 이 보고서는 출처자료 외에도 다수의 연구자료를 참고하였다.

정리자: 윤영수 연구원(삼성경제연구소 복잡계 센터)

1. 개요

□ 서비스업이나 사무간접부문에서 6시그마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흔히 부딪히는 문제는

  창의적 개선안 도출을 위한 툴이 다소 미흡하다는 것임 

- 실험계획법(DOE)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상당 부분 브레인스토밍이나 

  전문가의 직감 등에 의존해 개선안을 도출 

- 이 방법들도 개선안을 도출하는데 유용한 것은 사실이지만상식을 뛰어 넘을 수 있는

  혁신적 개선안의 도출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

□ 최근 연구개발분야에서 기술과 제품 혁신을 위해 널리 활용되고 있는 트리즈(TRIZ)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의 하나로 떠오르고 있음 

- 트리즈는 경험과 논리에 바탕을 둔 창의적인 발명기법

- 구소련에서는 초등학생부터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트리즈 교육을 활발히 

  실시하여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

□ 이 보고서는 서비스업 및 사무간접부문 6시그마 프로젝트에서의 트리즈 활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 목적임

 

2. 트리즈(TRIZ)의 이해

  □ 트리즈(TRIZ)란 창의적 문제해결 이론(Theory of Inventive Problem Solving)

    의미하는 러시아語의 약자 표기임 

  - 구소련의 과학자였던 알트슐러 등이 1946~1985년 최초로 개발 

 □ 알트슐러 등은 전세계 20만 건 이상의 특허를 조사하고, 그중 약 4만개의 혁신적인

    특허를 정밀 연구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발명)의 원리」를 발견

- 대부분의 문제는 세상의 어딘가에 해결안이 이미 존재하고 있음

- 특허의 2%만이 진정한 의미의 창조적인 발명이며, 98%는 이미 알려진  아이디어와

  개념을 이용하여 발명 

 - 발명은 그와 관련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모순(Contradiction) 해결함으로써 완성

 □ 트리즈에서 모순은 ‘기술적 모순’과 ‘물리적 모순’으로 구분

   - 기술적 모순: 시스템의 한 속성 A를 개선하고자 할 때, 그 시스템의 다른 속성 B

    악화되는 상태를 의미

   - 물리적 모순: 시스템의 한 속성 A의 값이 높아야 하지만 동시에 낮기도 해야 하는

    상태, 또는 어떤 경우에는 속성 B가 있어야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없어야 하는

    상태 등을 의미 

《기술적 모순과 물리적 모순의 예》

기술적 모순

물리적 모순

·항공기의 강도를 높이려고 할 경우

  무게가 증가

·서비스를 커스터마이즈할 경우 서비스 제공시스템이 복잡해짐

·고객서비스 개선을 위해 은행창구직원을 늘일 경우 비용이 증가

·전투기의 날개는 이착륙 시에는 넓어야 하지만 비행 중에는 좁은 것이 좋음

·호텔 객실수는 많은 것이 좋을 때

  (성수기)도 있고, 적은 것이 좋은 경우

  (비수기)도 있음

  □ 과거 기술적 모순을 갖고 있는 문제는 상호절충(Trade-off)를 통해 해결해 왔으나,

    트리즈에서는 모순행렬(Contradiction Matrix)의 발명원리를 적용해 문제를 해결 

   - 상호절충을 통한 문제해결 방식으로는 혁신적인 개선이 불가능하기 때문

   - 모순행렬은 발생 가능한 39개의 기술적 모순들을 개선하려는 특성(Y) 악화되는

     특성(X )으로 배열해 39×39 행렬 형태로 정의한 매트릭스

   ㆍ행렬 내의 숫자들은 대응하는 행과 열의 모순을 해결할 수 있는 발명원리( 40)

     를 의미

 

《모순 행렬(Contradiction Matrix)

<TD style="BORDER-RIGHT: black 1pt solid; PADDING-RIGHT: 3pt; PADDING-LEFT: 3pt; PADDING-BOTTOM: 3pt; BORDER-LEFT: black 1pt solid; WIDTH: 20.25pt; BORDER-TOP-COLOR: #e0dfe3; PADDING-TOP: 3pt; BORDER-BOTTOM: black 1pt solid; HEIGHT: 18.75pt; BACKGROUND-COLOR: transparent; mso-border-alt: solid black .25pt; ms
출처 : 6시그마에서의 TRIZ의 활용
글쓴이 : 캄캉 원글보기
메모 :

' 경영컨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선하려는 특성

악화되는 특성

1

2

14

38

39

이동하는 물체 중량

이동하지 않는 물체 중량

강도

자동화

수준

생산성

1

이동하는

물체 중량

 

 

 

 

 

2

이동하지 않는 물체 중량

 

 

 

 

 

 

 

 

 

 

14

강도

2,26,29,40

 

 

 

 

 

 

 

 

 

[스크랩] 이산화탄소(Co2) 배출 줄이기  (0) 2010.08.22
[스크랩] 중소기업의 6시그마 도입 시나리오는 어찌하여야 하는지?  (0) 2010.08.22
[스크랩] 6시그마는 무엇인가 ?  (0) 2010.08.22
[스크랩] (seri6sigma)6시그마 방법론  (0) 2010.08.22
[스크랩] 6시그마 벨트제도  (0) 2010.08.22